Project

[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] 실습 Chapter 02 - 리눅스 가상 머신 환경 구성 및 CentOS 설치

snape 2023. 5. 17. 17:03

그동안 이론으로만 알았던 내용을 실습으로 진행하고자 한다.
이번 프로젝트는 [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]을 따라하며 여러가지 Skill을 익히는 연습을 목적으로 한다.
http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90367993

 

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 - YES24

전문 개발자가 아니어도 약간의 소프트웨어 지식만으로 빅데이터의 A~Z까지 기술들을 구현하고 경험해 볼 수 있는 파일럿 프로젝트 형식으로 구성했다.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실무 요

www.yes24.com

https://github.com/wikibook/bigdata2nd

 

GitHub - wikibook/bigdata2nd: 《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(개정2판)》 예제 코드

《실무로 배우는 빅데이터 기술(개정2판)》 예제 코드. Contribute to wikibook/bigdata2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
github.com


이 책에서는 window를 기준으로 진행하고 있으므로, 나도 window PC로 진행을 하게 되었다.(왜 Mac은 없지...ㅠㅠ)

개발 환경

  • Java
  • 이클립스
  • 버추얼 박스
  • CentOS
  • Putty, 파일질라, 크롬
  • 클라우데라 매니저
  • Hadoop Eco System

우선 서버 환경 세팅부터 시작하며, 오픈 소스 관련은 프로젝트가 진행될 때마다 설치를 진행한다.
자바와 이클립스, Putty 등은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 있으므로 서버 세팅 위주로 진행한다.

※ 책에서 나온 실습과 버전이 달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.

 

1. Virtual Box Download

책에서는 Virtual Box 5.0.40 버전을 사용 중이나, 현 시점에서는 Not Supported 상태이다. 따라서 최신 지원 버전인 7.0.8로 진행을 하게 되었다.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 가능하다.
https://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s

Virtual Box Downloads

 

2. Network Setting

01. 버추얼 박스를 실행하고 상단 메뉴의 [네트워크] - [만들기]를 선택한다. 아래와 같이 네트워크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. 
[어댑터]의 설정값을 아래와 동일한 설정값인지 확인한다.

 

02. [NAT Networks]를 클릭하고 만들기를 누른다. NatNetwork가 만들어지며 하단의 General Options에서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.

 

3. CentOS Download

CentOS 또한 책에서 사용되는 버전은 지원하지 않으므로, 7 버전으로 진행한다.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. 
용량이 4G 정도여서 다운받는 데 시간이 다소 걸린다. 
http://mirror.kakao.com/centos/7/isos/x86_64/

 

CentOS Mirror

 

mirror.kakao.com

 

4. 가상머신 생성 

이제 리눅스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Server를 세팅해보자. 상단 [머신] - [새로 만들기]를 눌러준다.


책에서 나온 버추얼 박스에서는 다운받은 CentOS를 시작부터 마운트 하는 것이 없어서 개별적으로 진행했으나,
최신 버전의 버추얼 박스에서는 ISO Image를 선택하는 것이 있다. 
나는 개인적으로 설치부터 해보고 싶어서 <선택하지 않음>으로 진행하려고 한다. 

 

메모리는 2048로 설정해주고, CPU는 별도의 언급이 없어 기본값인 1로 설정했다.

 

하드 드라이브는 30GB ~ 40GB로 설정한다.

 

버추얼 박스 좌측에 Server01 가상 머신 서버가 생성됐다. 가상 머신을 클릭하고 상단의 [설정] - [네트워크]를 선택한다.
설정값은 아래와 같이 설정해준다. MAC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표기된다.

 

다음으로 [어댑터 2]에서 [네트워크 어댑터 사용하기]를 체크한 뒤 [호스트 전용 어댑터]를 선택한다.
무작위 모드를 [모두 허용]으로 설정한다.

 

[설정] - [저장소] 에서 [비어있음]을 선택하고 [드라이브 선택] 버튼을 클릭한다.
드롭다운 메뉴에서 [가상 광학 디스크 선택/만들기]를 선택 후, 앞서 다운로드 했던 CentOS를 선택한다. 

 

CentOS를 선택 후 Server01 가상 머신을 시작한다. 아래와 같은 새로운 창이 뜰 것이다.

 

서버가 시작된 후 [Enter]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서버를 Install 하기 시작한다.

 

5. CentOS 설치

Install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설치 GUI가 보인다. 언어 설정에서 기본 설정인 [English]를 선택하고 [Continue]를 누른다.

 

[INSTALLATION DESTINATION]으로 들어가서 설정 확인 후 [Done]을 눌러주고 [Begin Installaion]을 누른다.

 

이제 아래와 같이 Root 비밀번호와 사용자 계정 생성 화면이 뜬다. 둘 다 세팅해 주고 [Reboot]를 누르면 된다.
그리고 서버를 종료해주자.

 

여기까지 진행됐으면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CentOS를 Install 하는 것까지 완료했다.
이제 CentOS 환경 구성을 해보도록 하자.